1) RDP로 접속 가능하게끔 시스템 - 원격 데스크톱 설정
보안되지 않은 모든 형식의 업데이트 가능하게끔 체크해줌
2) RDP 방화벽에서 막히지 않게끔 3389번 Inbound규칙에 등록해줌
3) 컴퓨터 이름이 랜덤하게 생성되니, 컴퓨터 이름을 바꿔줌
4) Diskmgmt.msc에서 WSUS로 쓸 iSCSI 디스크를 초기화해줌(GPT방식으로 함)
-> 여기서 diskmgmt가 디스크 정보를 못 불러 오는 경우(unable to connect to virtual disk service) : services.msc 들어가서 virtual disk라는 서비스를 한 번 실행해줌...그래도 안되서 리부팅 해줬더니 붙음
5) 기타 사항 : IP주소 할당해줌
2. 그다음 서버 구성 Wizard 실행 -> Add roles and features -> WSUS
3. WSUS 설치 완료 후 WSUS 구성 마법사 step by step으로 설치
1) upstream서버가 있을경우 동기화 하는 step에서 시간이 10분 정도 걸림
2) 서버 포트를 8530에서 80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 -> 2012 WSUS 포트 변경 방법
C:\Program Files\Update Services\Tools\WSUSutil usecustomwebsite false
3) 전부 설치하고 마지막 마침 단계에서 초기 동기화 시작을 체크한다.
4. 여기가 끝이 아니다.
1) 그다음에 컴퓨터 그룹을 바로 만들어줘야한다.(기존 쓰던 환경 IP주소 그대로 이관시) - 그렇지 않으면 클라이언트들이 unassigned computer에 들어가게 된다.
2) 그리고 한 15분간 synchronization을 한다. 단, 이때 디스크에 실제로 업데이트 파일이 들어가지 않더라!
3) 업데이트 서비스에서 unapproved된 것들을 approve 해주어야
그제서야 task manager에서 볼 때, Ethernet과 Disk 가 골고루 스루풋이 생기며 업데이트 설치 파일들을 받아오기 시작한다.
4) 80포트로 바꿀시 업데이트 서비스가 접속이 되지 않아 당황하게 되는데
이 때 자신의 80포트로 접속해야한다.
'OS > 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진화된 정품인증 스크립트 (0) | 2017.02.28 |
---|---|
WSUS 이슈 : Clients cause the WSUS App Pool to become unresponsive with HTTP 503 (0) | 2016.12.29 |
표준이미지 Office 2013 설치시 작업 스케줄러 오류 (0) | 2016.10.04 |
WSUS 분류 이슈 (1) | 2016.09.05 |
Windows 7 Service Pack 1 (0) | 2016.08.22 |